기술자료(107)
-
상수도 수도 배관누수 찾아 해결한 배관작업
고향집에 생활용수는 지하수를 사용하였으나 지하수의 수량부족으로 현재 상수도를 사용합니다. 수도요금이 수도물 사용량이 많지 않았는데 수도물 값을 많이 지불되어 이상하게 생각하였습니다. 먼저 상수도 계량기를 살펴보니 물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도계량기의 지침이 회전합니다. 계량기에 들어오는 수도 밸브를 잠그면 회전하는 지침이 돌아가지 않고 멈추는 것을 확인하고 결론을 내린 것은 수도물이 계량기를 통과한 후 어디선가 수도 배관이 누수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땅속에 묻혀있는 수도배관의 누수지점을 정확하게 찾는 것은 전문적인 직업에 따른 노하우와 장비가 없이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많은 양의 수도물이 어떤 원인으로 일시에 누수가 되어 쉽게 누수부분을 알 수 있는 경우는 배관작업으로 해결이 됩니다. ..
2015.02.18 -
무한궤도 굴삭기 트랙 마모 줄이는 작업방법
무한궤도 트랙은 험한 작업장에서 능력을 발휘합니다. 무한궤도를 캐터필러라 부르기도 하는데 작업조건에 따라 슈판의 넓이와 폭이 달라지고 형태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제조됩니다. 습지구간이나 암반지역에서 사용하는 무한궤도 트랙은 각각 다른 모양의 슈판을 장착하여 작업을 합니다. 습지구간은 접지면적이 넓게 하기위해 표면적이 넓은 슈판을 사용하며 암반지역이나 험지용 슈판은 면적이 좁은 슈판을 사용합니다. 무한궤도 굴삭기 트랙의 마모를 줄이는 작업방법은 작업장의 조건이 첫번째로 굴삭기 트랙의 마모에 영향을 줍니다. 암반지역이나 모래성분이 많은 작업장은 무한궤도 굴삭기 트랙의 마모가 많습니다. 굴삭기 트랙의 마모가 많으면 트랙을 교환하는 주기가 빨라져 그많큼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에 트랙의 마모를 줄이는 작업방법도 비..
2015.01.22 -
화장실과 세면장의 악취원인은 하수구에서 올라 오는 냄새
화장실이나 세면장에서 악취원인은 거의 대부분은 하수구와 연결된 배수시설이 불량하여 나타난 것으로 실험을 통해 동영상으로 보여드립니다. 화장지를 말아 불을 붙여 끈 다음 연기가 발생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였습니다.화장실과 세면장 바닦에는 공동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배관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과 함께 악취를 차단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장실과 세면장 또는 싱크대등 오물을 씻어내고 버리는 배수관에는 자연적으로 생기는 흐물흐물한 덩어리가 쌓이게 됩니다. 이것을 벌킹슬러지라 하는데 사용량과 사용기간이에 따라 발생량도 많거나 적게됩니다.결과적으로 벌킹슬러지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지 않아 오래 되어 굳어지면 이것이 배수관로 내부를 좁게 만들어 어느 순간 평소와 다르게 큰 이물질이 그곳으로 들어가면 좁..
2014.12.17 -
조명기구 전구종류중 콤펙트형광램프의 길이(전장)와 폭
가정에서 조명기구를 사용하면서 전구와 안정기를 교체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전구의 종류는 생각보다 갯수가 많아 자세하게 알 필요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콤펙트형광램프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전구의 종류는 일반조명과 LED조명으로 크게 구분 할 수있는데 일반조명에는 직관현형광램프, 환형(원형)형광램프, 전구식 형광램프, 무정극램프, 백열전구,콤펙트형광램프등으로 구분 되며 LED조명으로는 종류가 많아 열거하기 여려울 정도로 많습니다.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콤펙트형광램프(아래사진)는 사용시간이 지나면 램프접속 부분이 검게 변하면서 조도가 떨어져 새제품으로 교체를 하게 됩니다. 이때 콤펙트형광램프의 길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구입하려 가는 일이 있습니다. 매장에서 콤펙트형광램프를 선택 할 때 어느 ..
2014.12.15 -
타일, 목재, 프라스틱등 구멍내는 전동드릴 사용법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타일, 목재, 프라스틱등에 구멍을 내고 물체를 부착하는 일을 합니다. 이때 전동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게 됩니다. 드릴의 종류는 유압과 공압을 이용하는 드릴도 있지만 전기를 이용하는 전동드릴을 많이 사용합니다. 전동드릴을 사용하면서 주의 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점검사항은 무엇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전동드릴은 전기를 사용하므로 무엇보다도 감전에 주의를 해야하는데 전동드릴이 이중절연구조의 드릴인지 확인하고 사용합니다. 비가오거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을 금하고 드릴이 젖은 상태는 감전이 우려되므로 완전히 건조시켜 사용합니다. 타일, 목재, 프라스틱등 구멍내는 전동드릴을 사용에서 드릴비트에 장감이 끼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고 드릴비트 날에 신체 부분이 닿지 않게 작..
2014.11.19 -
고속절단기,핸드그라인더 안전수칙
건축이나 토목현장등 공구로 주로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 고속절단기와 핸드그라인더는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으면 위험에 처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의 특성상 항상 위험이 따르는 작업공구입니다. 고속절단기는 환봉이나 파이프, 여러가지 형강을 절단하는 공구로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합니다. 보호구는 장갑은 물론이지만 보안경이나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합니다.고속절단기를 사용하기전 점검을 하고 사용하여야 하는데 안전 덮개가 절단재료와 회전축을 안전하게 덮혀있는지 확인하고 바이스에 절단재료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도 확인합니다. 절단기의 회전속도는 적절한지 확인하고 절단재료의 변형이나 균열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안전수칙에 해당합니다. 절단재료를 절단하면서 주의 할 점은 절단재료의 측..
2014.11.17